728x90
반응형
✅ SCALE-UP과 SCALE-OUT
- 서버가 단 하나만 존재할 때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 접속을 하게 된다면?
- 서버가 부하를 감당하지 못할 수도 있음
- 이때, 서버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으로 “SCALE-UP”방식과 “SCALE-OUT” 방식이 있음
- SCALE-UP : 해당 서버 자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식
- 장점
- 추가적인 네트워크 연결 없이 성능을 높일 수 있음
- 스케일 아웃보다 관리 비용이나 운영 문제가 적음
- 사양만 올리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성능 향상을 시킬 수 있음
- 단점
- 성능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폭이 큼
- 성능 향상의 한계가 있으며, 서버 한 대가 부담하는 양이 많아 장애 영향도가 큼
- 기존 서버를 교체하여 성능을 올릴 때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다운타임이 불가피
- 장점
- SCALE-OUT : 서버의 대수를 늘려 부하를 나누는 방식
- 장점
- 확장의 유연성
- 비교적 저렴한 서버 사용으로 비용 부담이 적음
- 분산 처리로 인해 장애 시 전면 장애의 가능성이 적음
- 단점
- 필요한 만큼의 서버를 확보해놓지 않은 경우 손해가 발생할 수 있음
- 병렬 컴퓨팅 환경을 구성 및 유지하기 위한 아키텍처에 대한 높은 이해도 필요
- 서버 수 증가에 따른 관리 비용 증가
- 장점
728x90
반응형
'Studying > Back-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로드 밸런서와 로드 밸런싱 (0) | 2023.04.21 |
---|---|
고가용성(High Availability; HA)과 서버 이중화에 대해서 (0) | 2023.04.18 |